2025 건설 노임단가표

 건설 현장에서 인건비는 전체 공사비의 핵심 요소입니다. 이 때문에 매년 발표되는 시중노임단가는 공사비 산정과 근로자 임금 보호에 있어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2025년도 노임단가는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누어 적용되며, 건설업 직종뿐만 아니라 엔지니어링 기술자 단가까지 포함해 발표되었습니다.






2025년 상반기 노임단가

2025년 1월 1일부터 적용된 상반기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일일 단가, 원 기준).

  • 보통인부: 169,804

  • 특별인부: 221,506

  • 철근공: 264,104

  • 콘크리트공: 266,361

  • 조적공: 266,624

또한 엔지니어링 분야의 경우,

  • 기술사(기계/설비): 470,112

  • 특급기술자: 391,791

등으로 책정되어 동일하게 상반기부터 적용되었습니다.



하반기 적용 기준

2025년 하반기 노임단가는 9월 1일부터 새롭게 공표되어 반영 중입니다. 최신 수치는 대한건설협회, 조달청, 건설기술연구원 등 공식 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직종별 세부 자료를 제공받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노임단가 산정 방식

노임단가는 대한건설협회가 매년 상·하반기에 실시하는 건설업 임금실태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산출됩니다.

  • 전국 약 2,000여 개 현장을 조사

  • 조사 기준기간과 실시기간을 나누어 진행

  • 현장 실사, 설문조사, 전문가 검토 병행

이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과는 공공기관 발주 공사비 산정 시 활용되며, 임금 과소 책정 방지와 근로자 권익 보호에 기여합니다.

적용 기간은 상반기 1월 1일~8월 31일, 하반기 9월 1일~12월 31일로 나뉘며, 고용노동부·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와 협력하여 정책적 활용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직종별 차이와 특징

2025년 노임단가는 직종별 특성에 따라 큰 편차가 있습니다.

  • 보통인부: 특별한 기술이 없는 일반 현장 노동자 → 169,804원

  • 전문기능직: 철근공, 콘크리트공, 조적공, 석공 등 → 약 260,000원대

  • 특수직종: 승강기 설치공, 철도장비 운전원, 교통정리원 등 → 장비 활용도, 자격 요건, 위험도에 따라 개별 산정

총 127개 이상의 직종이 반영되며, 이는 실제 건설 현장의 임금 구조를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하기 위함입니다.


활용 방법

시중노임단가는 단순한 참고 자료를 넘어 다음과 같은 활용도가 있습니다.

  • 공공기관 공사 예정가격 산정

  • 인건비 분쟁 발생 시 기준 자료

  • 설계내역서·입찰·계약 단계에서 원가 산정 근거

단, 발표되는 노임단가는 기본급여 기준으로 제수당, 상여금, 퇴직금은 별도로 산정해야 합니다.



2025년 건설 노임단가는 매년 상·하반기로 갱신되며, 지역별·직종별 차등 적용을 통해 공사비 산정에 현실성을 더합니다. 특히 전문기능직과 특수직종은 보통인부보다 높은 단가가 책정되어, 현장의 실제 인건비 구조를 반영하는 핵심 지표로 활용됩니다. 따라서 공사비를 산출하거나 계약을 진행할 때는 반드시 최신 노임단가를 확인하세요!






다음 이전
/* */